가슴으로 읽는 시

써레

꽈벼기 2017. 1. 22. 09:13

써레


올여름은 일 없이 이곳 과수원집에 와서 꽁짜로 복송도 얻어먹고 물외순이나 집어주고 지낸다


아궁이 재를 퍼서 잿간에 갈 때마다 아무짝에도 쓸모없다고 잿간 구석에 처박힌 이 빠진 써레에 눈길이 가곤 했다 듬성듬성 시연찮은 요 이빨들 가지고 논바닥을 평평하게 고르긴 골랐었나 뭉텅뭉텅 빠져나간 게 더 많지 않았겠나 이랴 자라! 막써레질로 그래도 이골이 났었겠지


창틀에 뒤엉킨 박 넝쿨들 따로따로 떼어 뒤틀린 서까래에 매어두고 나도 이 빠진 한뎃잠이나 더 자야겠다

―이병초(1963~ )

가슴으로 읽는 시 일러스트

써레질하는 모습을 보기가 귀해졌지만 예전에는 모내는 때만 되면 무논에서 소가 멍에를 메고 써레를 끄는 모습을 자주 보았다. 물론 그 무논에는 고삐를 당겨 '이랴 이랴' 소를 몰고, '워워' 소리를 내 소를 세우던 아버지도 계셨다.

시인은 여름 한철을 과수원에서 보낸다. 달큼하게 잘 익은 복숭아를 얻어먹고, 대 신 오이순을 들어 올려 자라게 해주거나 아궁이의 재를 퍼 잿간에 날라다 주면서 큰 걱정이나 개의할 일 없이 지낸다. 그러다 우연히 써레에 눈길이 간다. 써레는 논바닥을 고르느라 이제 써레날이 빠져 있다. 논과 밭에서 평생을 살아오느라 몸이 늙고, 또 탈이 나 병을 앓게 된 농부처럼 말이다. 몸을 써 온 그 써레를 시인은 안쓰러운 마음으로 가만히 바라본다.






'가슴으로 읽는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흔다섯  (0) 2017.03.25
멀리 가는 울음  (0) 2017.03.03
수종사 풍경  (0) 2017.01.02
홍시  (0) 2016.12.29
저 꽃  (0) 2016.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