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읽는 시

만종(晩鐘)

꽈벼기 2013. 11. 11. 20:38

만종(晩鐘)

 

구부린 등은 종이었다

 

해질녘,

구겨진 빛을 펼치는

종소리를 듣는다. 한 가닥

햇빛이 소중해지는

 

진펄밭 썰물 때면

패인 상처를 생각할 겨룰도 없이

호밋날로 캐내는, 한 생애

 

쪼그린 아낙의 등 뒤로

끄덕이며 끄덕이며 나귀처럼

고개 숙이는 햇살

어둠이 찾아오면, 소리없이

 

밀물에 잠기는 종소리

                                                    

                                         ----고찬규----

 

만추라는 놈이 찬비 뿌린 틈을 타 밀어닥쳐서는 마당을 온통 어질러 놓았다, 갖가지 빛깔이 나뭇잎들이 여기저기 지천이다. 바람도 없는데 끊임없이 뚝뚝 떨어져 바닥에 앉는 한 생애들, 겨울나기를 위한 나무들의 일종의 의식이다. 길고 긴 종소리가 멀리서부터 오는 듯만 하다. 겸허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모두 저 나뭇잎만 같은 것이 아닌가.

 

해 저무는 뻘밭에 등을 둥그렇게 말고는 조개를 캐는 아낙이 있다. 한 생애를 그 썰물의 개펄 속에서만 지냈다. 그녀에게서 문득 종소리가 들려온다. 저 가난하고 힘겨운 운명을 온몸으로 긍정한 거룩함이, 파동이 되어 저무는 햇빛과 함께 눈에 닿고 그리고 가슴에 닿는다. 가슴에 노을이 울려 퍼진다.

 

밀레는 만종에 기도를 올리는 가난한 농부 부부를 그렸다. 그 종소리는 전 인류의 눈에 울려 퍼졌다. 나귀처럼 운명에 순응하며, 곧 찾아올 어둠에 지워질 것이나 여전히 거룩한 생명, 밀물에 지워지는 한 소박한 생애를 생각하는 저녁이다.

                                                                                                                                                  --장석남--

'가슴으로 읽는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멧새 소리  (0) 2014.01.20
가을  (0) 2013.11.21
놋세숫대야  (0) 2013.09.26
내가 사랑하는 사람  (0) 2013.09.25
가을엔 이런 사람이 되고 싶다  (0) 2013.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