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가이사의 재판 자리 앞에 섰으니 마땅히 거기서 심문을 받을 것이라]
[내가 가이사의 재판 자리 앞에 섰으니 마땅히 거기서 심문을 받을 것이라]
(사도행전 24:24~25:12)
24~27절, 본문에는 총독 벨릭스와 그의 아내 드루실라와 바울과의 미묘한 관계가 묘사되어 있습니다. 벨릭스는 바울을 자주 불러 그의 아내와 함께 바울의 강론을 들었습니다. 헤롯 아그립바 1세의 막내딸로서 유대인 출신이었던 그의 아내는 바울이 믿는 기독교에 많은 관심을 보였고 남편 벨릭스에게도 기독교를 소개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녀의 관심은 단지 호기심에 의한 것이요, 진리에의 추구에서 나온 것은 아니었으며, 벨릭스 역시 바울의 강론보다 물질에 대한 탐욕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기독교의 진리에 대한 사도 바울의 강론을 앞에서 수차례 들을 기회를 가졌음에도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고 육신의 정욕에 눈이 어두웠으니 멸망의 길로 달려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바울은 어떠한 상황에서든지 복음 증거의 사명을 잊지 아니하였으니 가이사랴에 감금된 동안에도 벨릭스와 드루실라에게 기독교의 도를 전하였습니다. 벨릭스와 드루실라는 탐욕과 허영의 모형으로서 바울은 할 수 있는 한, 저들에게 진리의 말씀을 선포하여 회심의 기회를 주고자 했습니다.
바울이 그들에게 설파한 메시지는 의와 절제와 장차 오는 심판에 관한 것이었으니 이는 그들의 생활 속에 가장 민감한 문제였으며 그들이 꼭 경청해야 할 중요한 교훈이었습니다. 바울은 그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들이고 새롭게 변화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심정이었을 것이며 특히 같은 민족인 드루실라에 대하여 더욱 그러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바울이 순수한 기독교의 진리에 관하여 강론하다가 갑자기 개인적인 윤리와 책임에 대해 경고를 하자 당시 문란하고 허용된 생활을 하고 있었던 그들은 마음에 찔려 두려워하며 바울을 멀리하였습니다. 악인의 반열에 서 있었던 그들은 끝내 바울의 전한 복음을 받아들이지 아니하였으니 그들에게는 사망의 길이 예비 되어 있었습니다.
25:1~12절, 본문은 바울이 가이사랴에 연금된 지 2년이 지난 후 당시 총독이었던 벨릭스가 파면되고 새 총독으로 베스도가 부임한 직후에 일어난 사건입니다. 벨릭스와는 대조적으로 충실한 정치가였던 베스도는 부임 후 사흘 만에 로마의 통치 지역이었던 예루살렘을 방문하였고 이때 유대인들은 그에게 바울을 다시 고소하였습니다.
유대인들은 베스도에게 바울을 가이사랴에서 예루살렘으로 보내 달라고 요구했으며, 이 요구가 수락되면 전에도 그랬듯이 고용한 암살단을 배치하여 도중에 바울을 죽이려고 계획 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바울이 로마에 가서도 복음을 전하게 될 것을 이미 약속하셨으므로 베스도가 그들의 요구를 거절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바울 살해 음모를 좌절케 하셨습니다.
이에 가이사랴 법정에서 다시 재판이 열렸으나 베스도는 바울을 심문하는 가운데서 뚜렷한 죄목을 찾아내지 못함으로 난처한 처지에 빠지게 되며, 유대인들을 고려하여 바울에게 예루살렘 행을 권합니다. 베스도는 비록 바울을 로마로 보내시고자 하는 하나님의 섭리는 하나하나 성취되어 갔습니다.
바울이 죽음을 목전에 둔 위기의 순간에서도 담대하게 진리를 증거하며 자신의 무죄를 입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는 복음에 대한 확신과 열정을 가지고 가이사에게 상소함으로써 유대인들의 살해 음모를 무산시켰습니다. 이는 바울이 죽음을 두려워하여 자신의 생명을 유지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부적절한 시기에 불필요한 시기에 불필요한 순교를 피하여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을 증거하고자 하기 위함입니다.
◆여러분은 알량한 교리적인 지식으로 다른 사람을 쉽게 판단하거나 정죄하고 하나님의 이름을 오용하면서 상식에 벗어난 행동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만약 그렇다면 지금부터 조용히 우리 자신이 하나님의 사람인지 자신을 판단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성도는 어떤 일을 판단할 때 무조건 교리를 절대화해서 그 교리로만 판단하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판단하기 전에 참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것을 위해 열심히 기도해야 할 것입니다.
●매사를 결정할 때 두 마음을 품지 않고 확신 하고 결정하길 원합니다. 교회에 관한 일이든 직장에 관계된 일이든, 나라의 법에 관한 일이든 누구 앞에서든 결백하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 봅니다. 사람들 앞에서 지켜야 할 규칙들을 지켜서 떳떳하게 설 수 있길 기도합니다.